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

[유학/준비] Ep4. 조마조마 인터뷰 준비 2 축하합니다! 인터뷰 오퍼를 받은 독자들에게 축하한다는 말을 남기고 싶습니다. 기나긴 서류 전형이 마무리 됐고, 인내의 시간을 지나서 이제는 본격적으로 직접 내 자신을 보여줄 수 있는 시간입니다. 오늘 포스트는 인터뷰 오퍼를 받은 뒤에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끝에는 제가 진행했던 인터뷰 복기에 대한 내용도 추가를 했으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유학 인터뷰 오퍼 이메일을 받은 뒤에 할 것 1. 교수님 컨택 서류 결과를 받았으니 합격한 학교들에 한해 본격적으로 컨택을 진행한다. 학과 홈페이지, 교수/연구실 개인 홈페이지 등 가리지 않고 연락처와 정보를 모아서 좋은 컨택 이메일을 보내는 것이 중요. 이때 보내는 컨택 이메일은 서류 결과를 받기 전과 다르게 repl.. 2024. 1. 5.
[Life in Toronto] 캐나다 대학원 생활의 장점1: 타향살이 오늘은 캐나다 대학원 생활의 장단점에 대해서 얘기해 보려고 한다. 대학원생이라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을 것 같지만 사실 그렇다. 그래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장점과 단점을 골고루 나열해보고 설명해보고자 한다. 지극히 개인적인 얘기일 수 있고 모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니 참고바란다 :) 장점 1: 타향살이 필자는 약 26년간을 서울에서, 그중에서도 25년을 같은 동네에서 살아왔다. 유치원, 초등학교는 걸어서 15분, 중학교는 초등학교 바로 옆에 붙어있었고 고등학교는 버스로 20분 정도 걸렸던 것 같다. 계속해서 한 곳에서 지냈고, 심지어 대학을 다닐 때에도 운이 좋아 지하철로 30분 거리에 있는 곳을 다니게 되어 그 흔한 자취도 해보지 않았었다. 그래서 그런지, 마음 한 구석에는 항상 독립에 대한 꿈이 있.. 2023. 1. 5.
[유학/준비] Ep3. 조마조마 인터뷰 준비 1 서류 마감일이 약 1년전이었던 것이 생각난다. 보통 영어성적 통보를 포함한 모든 서류 마감일이 12월 15일 전후, 혹은 늦으면 1월 전후였으니 이 맘때쯤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한 시름 놓고 다시 몸과 마음을 가다듬으며 다음 스텝인 인터뷰를 준비해야한다. 사실 미국, 캐나다 대부분의 학교들을 생각하면 내가 원한다고 인터뷰를 보는 것 보다는 교수가 내가 제출한 application package* 를 열람한 뒤 인터뷰 요청을 하는 방식이다. 박사 과정이 펀딩 베이스로 이뤄지기 때문에 나와 같이 일하고 싶은 학생을 직접 뽑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 같다. 다시 말하면 인터뷰 요청이 온다는 것은 해당 교수 (혹은 학교/학과) 가 나와 같이 일하고 싶다는 마음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1차 관문을 통과한 것과 같.. 2021. 12. 20.
[Life in Toronto] Before Fall term starts I just arrived here in Toronto a few days ago. Since the pandemic situation here is still bad, I had to take a few covid tests and 14 days mandatory quarantine. Fortunately, none of the test results showed positive :) Great! After moving in to my new home, which is located near Eaton Center. I had to make my furniture from IKEA. This is my first time for it, but fortunately me and my roommate we.. 2021. 8. 13.
[유학/준비] Ep2. 유학 준비의 시작, 데이터 모으기 유학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가장 먼저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 (사실 유학 여부와 상관없이 대학원 진학을 준비한다면 공통된 사항이라 생각된다) 본인 분야에서 유망한 학교, 특히 특정 교수 (연구실) 님에 대한 정보 진학 정보 (원서 접수 일정, 지원 requirements 등) 1번에 대해서는 국내외 공통이라 생각된다. 필자는 1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만들고 google sheet 에 정리해서 한 눈에 보기 편하게 만들고 계속해서 정보를 업데이트 했다. 1번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자연스레 2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접수 일정과 지원 requirements 는 북미의 경우 큰 편차 없이 일관된 부분이 많기에 1번과 별도의 page 를 만들어 정리했다. 가장.. 2021. 8. 9.
[유학/준비] Ep1. 해외박사 진학 고민과 결심 첫 학교 지원이 약 5주 남짓 남은 상황에서 배수의 진을 (재수의 진) 치기 위해 잘 다니고 있던 대학원을 자퇴해버린 것은 돌이켜 생각해보면 무모한 짓이다. 당연히 걱정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돌이켜보니 열정만으로는 할 수 있는게 아니었고 유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알게된 모든 정보에 대해 공유를 하고자 이렇게 포스트를 적는다. 먼저 그 중 첫 번째 포스트는 작년 10월 중순에 했던 유학에 대한 고민, 걱정과 유학을 결심한 이유를 공유하고자 한다. 현실적인 걱정 1: 유학 비용 불과 1년전의 나도 그렇게 생각했는지만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것이 있다. 유학가는데 드는 비용이 천문학적이라는 것이다. 시간은 둘째치고 돈이 많이 든다고 생각하니 도저히 시작해볼 엄두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정말 해.. 2021. 8. 9.
[ML/DL] Explainability vs. Interpretability in AI 안녕하세요! Robert 입니다. 이번 포스트 에서는 Explainable AI (XAI) vs. Interpretable AI 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주로 참고한 포스트는 Richard Gall 님 께서 KD Nuggets 에 올려주신 Machine Learning Explainability vs Interpretability: Two concepts that could help restore trust in AI 입니다. * 원문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xplainable AI? Interpretable AI? 에 대한 개인적인 호기심을 위주로 조사해봤습니다. 1. AI (Deep learning) Explainability 가 필요한 이유 2. Explainability vs.. 2020. 11. 26.
[Medical Imaging/Computer Vision] Introduction to Medical Imaging and Computer Vision Hello, I'm Robert Sangwook Kim I'm planning to make a brief introduction for Medical Imaging and Computer Vision (Title : MICV) For the next 10 weeks, I would like to talk about topics related to medical image analysis,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Presentation files will be delivered in Korean and/or English via Youtube, Github, and Tistory (Or Notion). * If time allows, I will summarize.. 2020. 11. 15.
[DL] Interpretability, Model Inspection and Representation Analysis Identifying underlying mechanisms giving rise to observed patterns in the data. When applying deep learning in scientific settings, we can use these observed phenomena as prediction targets, but the ultimate goal remains to understand what attributes give rise to these observations - A survey of Deep Learning for Scientific Discovery ( Maithra Raghu, Eric Schmidt 2020 ) 이 포스트는 A survey of Deep Le.. 2020. 4. 5.